'Medical Care'에 해당되는 글 63건

  1. 2008.12.23 만성신부전증(CRF:Congestive Renal Failure) 2 by Mania™
  2. 2008.12.23 기복(pneumoperitoneum) by Mania™
  3. 2008.12.11 Fitz-Hugh-Curtis syndrome by Mania™
  4. 2008.11.26 합병증 많은 고혈압, 내겐 어떤 약이 맞을까 by Mania™
  5. 2008.11.26 패혈증(Sepsis) by Mania™
  6. 2008.11.26 약물 용량계산 by Mania™
  7. 2008.11.26 약품의 이름을 쉽게 기억하는 방법 by Mania™
  8. 2008.11.18 기관지확장증(Bronchiectasis) by Mania™
  9. 2008.11.18 천식(Asthma) by Mania™
  10. 2008.11.18 폐기종(Emplysema) by Mania™

 T82.41) 환자가 대퇴 정맥이나 쇄골하 정맥 혹은 내경정맥 등 큰 정맥에 경피적으로 도관을 삽입하는 등의 임시통로를 만들어 투석을 하였다가 이번에 도관(카테터)의 합병증으로 내원한 경우 주진단은 T82.4

기존에 동정맥루를 갖고 있었던 환자라면,
1) 동정맥루 자체의 기능부전으로 내원한 경우, AVF의 (기계적) 고장, 전위, 누출 , 위치이상, 기계적 폐쇄, 천공, 돌출상태에 대해  T82.5
2) 혈액 응고 로 동정맥루가 막힌 경우, AVF에 의한 색전증, 섬유화, 출혈, 동통, 협착, 혈전증 등으로 내원한 경우 T82.8

Peritoneal dialysis시 복강내 투석도자의 경우 기계적 합병증  T85.6


혈액응고로 복강내 투석도자가 막힌 경우  T85.8

Posted by Mania™

기복(pneumoperitoneum)

Medical Care : 2008. 12. 23. 09:43

공기나 가스가 복강내에 있는 것으로 보편적인 원인은 복부내장의 천공이며 대개 양성 궤양야나 종양, 외상에 의해서 발생하고 종종 천공된 충수에 의해서 발생가능하다. 또한 복강경 수술을 위해서 이산화탄소를 복부 내에 주입함으로써 발생가능하다.


K66.0  복막의 유착

          except  여성의 골반 유착(N73.6)

                     창자폐쇄를 동반한 유착(K56.5)

K66.1  복강내출혈

          except  외상성 복강내출혈(S36.8)

K66.8  특별한 외상이나 원인없이 기복이 발생한 경우

Posted by Mania™

Fitz-Hugh-Curtis syndrome

Medical Care : 2008. 12. 11. 17:03
 이름도 어려운 병입니다. 도대체 저걸 어떻게 읽습니까? 아시는 분? 사람 이름이니 제 각각일 것 같기는 합니다만...저는 그냥 이 병의 다른 이름인 perihepatitis로 편하게 부릅니다.  (핏즈 휴 커티스신드롬이라고 읽습니다)

Fitz-Hugh-Curtis syndrome이건 perihepatitis로 부르건 간에 이 병은 여성의 골반염의 증상중 하나입니다. 대표적인 경우를 들면 젊은 여성이 며칠간의 심한 고열과 근육통, 두통을 앓으면서 우측 상복부를 움켜쥐고 병원을 방문합니다. 대개 개인의원이나 약국에서 감기몸살이라고 약을 먹다가 오는 경우가 많고 산부인과를 갔다가 산부인과 질환이 아닌 것 같으니 내과를 가보라고 해서 오는 경우도 꽤 많습니다.


물론 38도 이상의 고열이 있는 경우가 많고 진찰을 해 보면 우상복부를 심하게 아파합니다. 건드리지 못하게 하는 경우도 있고 약간만 두드려도 소스라치게 놀라지요. 진찰대에 누우라고 하면 아주 천천히 몸을 움직이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잘 눕지도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숨을 크게 쉬어도 아파하지요. 언뜻 보기에는 급성간염이나 급성담낭염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사실 구별하기도 쉽지 않습니다만 비교적 구토나 미식거림등의 위장증상이 적고 움직일 때 많이 아파하는 (즉 복막이 자극되는 증상)이 더 심한 정도의 차이는 있습니다. 잘 물어보면 최근 냉이 많았다든지 하는 골반염을 시사하는 소견도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건...산부인과 병입니다. 그런데 저는 이 병을 참 많이 봤습니다. 왜냐하면..골반염이 골반 근처에 머물러 있을 때는 산부인과에서 진단을 하고 치료를 하지만 어떤 경우에는 골반쪽 (즉, 아랫배)는 멀쩡하면서 우측 상복부만 아파하는 경우가 있거든요.이런 경우 산부인과에서는 당연히(?) 내과를 가 보라고 하고...제가 보기에는 분명 Fitz-Hugh-Curtis syndrome 같은데 다시 돌아가라고 할 수도 없어 할 수 없이 제가 입원시켜서 항생제로 치료하고는 좋아지는 경우가 많이 있었으니까요..우리가 누우면 우상복부..즉 간이 있는 쪽이 dependant position 이기 때문에 뱃속에서 염증성 삼출액이나 고름등이 그 쪽으로 흘러들어가고 따라서 간 주위에 염증이 일어나면서 이런 증상이 나타나는 것입니다.원발 병소와 증상이 나타나는 곳이 달라져서 일어나는 에피소드이지요..^^


문헌에 보면 이 병을 진단하는데 복강경으로 간 주위에 염증에 의한 밴드같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고 하는데 구태여 그렇게 할 필요는 없습니다. 이 병과 구별해야하는 대표적인 병들...즉, 급성신우신염, 급성 간염, 급성 담도염이나 담낭염을 몇가지 검사로 배제하면 (물론 여성이어야 합니다. 그리고 성경험이 있는 경우구요. 남성은 이런 병 없습니다) 거의 진단이 된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그러면 급성골반염에 준해서 항생제 치료를 하면 하루하루가 눈에 띄게 좋아질 겁니다. 물론 산부인과에 다시 봐달라고 푸쉬도 하구요...^^


혹시 이런 증상을 갑자기 겪으신다면 산부인과를 가보시는 것이 순서구요..정 안 되면 내과의사가 봐야겠지만서두..^^ 

 <http://minihp.cyworld.com/pims/board/general/board_view.asp?tid=24775321&list_type=2&board_no=3&item_seq=34807813&urlstr=visi>

Posted by Mania™

침묵의 살인자’로 불리는 고혈압은 30세 이상 성인 10명 가운데 1명이 앓을 정도로 국민 질환이다. 60세가 넘으면 30%가 고혈압 환자다. 지난해 국내 고혈압 관련 시장 규모는 1조 380억원으로 당뇨병, 고지혈증보다 3배 이상 크다.

고혈압은 뇌졸중, 심부전, 심장마비 등 심혈관 합병증을 일으키며 평생 관리해야 하는 고질병이기도 하다. 합병증이 많아 특히 환자에게 적합한 치료제를 택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고혈압 약 특징과 주의점을 알아본다.

**최고(最古) 고혈압 치료제 ? 이뇨제

이뇨제는 혈압을 높이는 체액과 염분을 콩팥을 통해 몸 밖으로 배출하는 것을 촉진함으로써 혈압을 낮춘다. 가장 오래 사용돼 온 혈압 강하제 메커니즘이며, 현재도 많이 처방된다. 부작용으로는 고(高)뇨산혈증과 혈당 상승 등이 있다.

다이크로짇(유한양행), 라식스(사노피-아벤티스), 토렘(로슈), 알닥톤(화이자), 나트릭스(영진약품), 자록소린(환인제약), 후루덱스(세르비에) 등이 있다.

**혈관 긴장상태 조절 - 알파차단제

알파차단제는 혈관의 긴장상태를 조절하는 알파수용체 작용을 막아 혈압을 낮춘다. 알파차단제를 먹으면 말초 동맥이 확장돼 혈관 내 저항이 낮아져 혈압이 떨어진다. 부작용으로 기립성 저혈압(갑자기 일어나면 혈압이 떨어져 어지러운 증세)이 생길 수 있으므로 취침 전에 먹어 부작용을 줄여야 한다.

알파차단제 성분은 전립성비대증 환자의 배뇨 장애에도 효과가 좋다. 그래서 알파수용체 차단체의 독사조신 성분은 전립선비대증 치료제로도 쓰인다.

카두라XL(화이자), 하이트린(일양약품), 카딜(바이넥스), 딜라트렌(종근당) 등이다.

**심장에 직접 작용 - 베타차단제

베타차단제는 심장에 직접 작용해 혈압을 낮춘다. 심장 박동 세기 조절작용을 가진 교감신경 신경전도 물질인 베타수용체의 작용을 막아 혈압을 낮춘다. 협심증이나 심근경색 등의 합병증이 나타나면 우선 사용한다. 부작용으로는 성기능 장애, 안구건조증(콘텍트렌즈 착용시), 좋은 콜레스테롤(HDL) 감소, 피로, 지질혈증 증가 등이 있다. 울혈성 심부전 환자는 심장 근육이 이완될 수 있어 삼가야 한다.

인데랄LA(대웅제약), 모노콜(유한사이나미드), 아테놀민(콜마), 베타록(아스트라제네카), 테놀민(현대약품), 알말(CJ), 콩코르(머크), 코가드(BMS) 등이다.

**강력한 혈압 강하 효과 - 칼슘채널차단제

칼슘채널차단제(CCB)는 혈압 강하 효과가 강력하다. 심장근육을 수축하는 칼슘 작용을 억제해 혈압을 낮추고, 혈관과 심장세포막 칼슘 채널에 작용해 혈관을 확장한다. 뇌 혈액 순환과 말초 혈액 순환 개선 효과도 있다. 혈관 확장으로 인해 안면홍조나 두통이 생기는데 계속 사용하면 없어지는 경우가 많다.

노바스크(화이자), 박사르(GSK), 스카드(SK케미칼), 애니디핀(종근당), 아모디핀(한미약품), 스프렌딜(아스트라제네카), 아달라트OROS(바이엘), 자니딥(LG생명과학), 헤르벤(한일약품), 시나롱(보령제약) 등이다. 노바스크는 관상동맥질환, 신장질환, 당뇨병, 협심증 등의 다양한 환자군을 대상으로 18년 동안 800여건에 달하는 장기 임상시험으로 효과와 안전성을 입증받았다.

**내당능 장애 개선 -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ACE 억제제)

안지오텐신은 강력한 혈관 수축 작용을 하는 호르몬이다. 콩팥에서 분비돼 나트륨과 수분 재흡수를 늘려 혈압을 상승시킨다.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는 안지오텐신 합성을 막아 혈관을 이완, 혈압을 떨어뜨린다.

심근비대증을 줄이고, 내당능(耐糖能)장애(당뇨병 전 단계로 식후 2시간 혈당이 140~200㎖/dL인 경우) 개선 효과가 있다. 부작용으로는 복용자의 20%가 마른 기침을 하는데 동양인에 특히 많다.

트리테이스(한독약품), 레니프릴(중외제약), 라메이스(아스트라제네카), 모노프릴(BMS), 타나트릴(동아제약), 아서틸(세르비에), 시바쎈(노바티스), 인히베이스(제일약품) 등이 있다.

**혈압 강하ㆍ합병증 예방 한번에 - 안지오텐신Ⅱ 수용체 차단제(ARB)

안지오텐신Ⅱ 수용체 차단제(ARB)는 가장 최근에 개발돼 각광 받는 고혈압 치료제다. 안지오텐신 중 고혈압과 관련 있는 수용체인 안지오텐신Ⅱ만 선택적으로 차단한다. 이 약은 ACE 억제제의 최대 단점인 마른 기침을 크게 줄인다. 하지만 부작용으로 안면홍조, 어지럼증, 저혈압, 피로, 설사, 고칼륨혈증, 현기증 등이 나타난다.

아타칸(아스트라제네카), 디오반(노바티스), 코자(MSD), 아프로벨(사노피-아벤티스), 올메텍(대웅제약), 미카르디스(베링거인겔하임), 프리토(GSK), 테베텐(한독약품) 등이 있다. 아타칸은 ‘심장의 암’인 심부전 치료제로도 쓰이며, 디오반은 심근경색 후 사망 위험성을 줄인다.

코자는 좌심실 비대증을 동반한 고혈압 환자의 뇌중풍 위험을 줄이기도 한다. 아프로벨은 혈압 조절과 함께 신장 기능 보호 효과가 있다. 미카르디스와 프리토는 최근 발표된 ONT ARGET 연구결과, 심혈관계 고위험군 환자의 심혈관계 질환 예방에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한 가지 약으로는 부족해 - 플러스제제, 복합제

최근 기존 고혈압 약에 다른 성분을 합한 복합제가 약진하고 있다. 특히 이뇨제를 기존 약에 합친 제형은 더욱 강력한 혈압 강하 효과를 나타내 중증 고혈압 환자에게 인기다. ‘

플러스 제제’라는 별칭으로 불리면서 30% 이상의 높은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 아타칸플러스(아스트라제네카), 베타자이드(아스트라제네카), 코자플러스(MSD), 코스카플러스(MSD), 코아프로벨(사노피-아벤티스), 코디오반(노바티스), 미카르디스플러스(베링거인겔하임), 프리토플러스(GSK), 로지맥스ER(아스트라제네카ㆍ칼슘채널차단제, 베타차단제) 등이 있다. 아울러, 기존 ARB와과 CCB약을 합한 엑스포지(노바티스)가 더해져 ‘복합제 전성기’를 맞고 있다. 이밖에 레닌억제제인 라실레즈(알리스키렌) 등이 있다.


Posted by Mania™

패혈증(Sepsis)

Medical Care : 2008. 11. 26. 15:05

☆ Definition
세균이 혈액 속에 들어가 번식하면서 그 생산한 독소에 의해 중독 증세를 나타내거나, 전신에 감염증을 일으키는 병을 말한다. 건강한 사람은 균이 침입했다 하더라도 장기 등의 활동으로 제거되어 버리지만, 암, 폐렴, 몸이 쇠약한 경우에는 제거 기능이 충분히 발휘하지 못해 발병하게 된다. 

 ☆ Cause
 원인 병소로는 중이염, 피부 화농증, 욕창, 폐질환, 충치, 담낭염, 신우염, 골수염, 감염된 자궁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화농균의 침입장소가 확실하지 않은 것도 있다. 병원균으로는 연쇄상구균, 포도상구균, 대장균, 폐렴균, 녹농균, 진균, 클렙시엘라 변형 녹농균 등이 있다. 

☆ Symptom
(1) 갑자기 오한 전율을 동반한 고열이 난다. 관절통, 두통, 권태감 등도 볼 수 있다.
맥박은 빠르고 미약하며 호흡이 빨라지고, 중증인 경우는 의식이 혼탁해진다.
(2) 심내막염을 일으키면 심장음을 들을 수 있다. 증상이 심해지면 저혈압에 빠지고 소변량이 줄면서 쇼크 상태에 빠진다.
(3) 패혈증 쇼크의 1차적 증상은 발열, 심한 오한, 빠른 호흡, 빈맥, 저체온, 피부 병변 (출혈 홍반 등), 의식 변화가 있고, 2차 증상에는 저혈압, 청색증, 빈뇨, 무뇨, 황달, 심부전 증상 등이 있다. 

☆ Treatment
[약물요법] 가능한 빨리 강력한 항생물질요법을 실시하는데, 원인균이 검출되면 그 균에 대하여 가장 효과가 있는 항생물질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원인 병소가 있는 것은 그 치료도 함께 실시한다. 
[쇼크관리] 강심제를 주사하여 혈압을 올리되 수분 교정과 교감 신경 자극제 투여를, 저산소증에는 산소 공급, 기관 내 삽관 및 인공 호흡을 해주어야 한다. 파종성혈관내응고증은 원발성 감염병이 치료되어야 회복된다. 출혈이 있으면 응고 인자 등 혈액성분을 투여하며, 혈전증이나 말초 괴사가 있는 경우에는 헤파린을 사용한다. 무엇보다도 패혈증은 조기 치료가 증요하다.
[예방] 아무리 간단한 화농이라도 항생물질이나 소독약으로 속히 치료하고, 감염증에 걸렸을 대 몸이 떨리고 고열이 나면 즉시 의사의 지시를 받도록 한다.

Posted by Mania™

약물 용량계산

Medical Care : 2008. 11. 26. 15:02

일반 성인용 수액셋트 : gtt/min

 

           1cc로 15방울의 점적을 만들어 내는데 이는 곧

           chamber로 15방울이 떨어졌을 때 1ml(cc)가 주입 되도록 만들어졌으며

           gtt/min 단위(분당 점적수)를 사용한다.

 

gtt는 guttae(라틴어, drop)의 약어이며 우리나라 말로는 "적"이라고 번역한다.

1방울은 약 0.067cc 로 15gtt를 1cc로 간주한다.

 

1gtt/min = 1분(60초)에 1방울

            = 수액 set에서 1분(60초)에 1방울 떨어지게 셋팅


   예) 10gtt/min = 1분에 10방울 떨어지게 셋팅

                      = 60초/10방울

                      = 6초에 1방울 떨어지게 셋팅

                        

          => 10gtt/min로 24시간 주입하면

                  10방울 x 60분 x 24시간 = 14400방울

                  14400방울 : Xml = 15방울 : 1ml

                         14400방울 

                       -----------  = 960ml

                              15 

                       하루에 대략 1000ml가 주입된다.

                           

    예) 하루에 2000ml를 주입하려면

 

IV rate (gtt/min) = [Amount of IV fluid(ml) x drip factor(gtt/ml)]/ time to infuse

 

전체주입량(cc) x drip factor(15 or 60) 

gtt/min or ugtt/min = -------------------------------------

전체주입시간min(hr x 60min)       

 

             (2000ml x 15) / (60 x 24) = 20.83

                                               = 약 20gtt/min

                                               = 60초 / 20방울

                                               = 3초에 한 방울 떨어지게 셋팅

 

* 대략 10gtt/min 는 하루에 total 1000ml

                               20gtt/min                      2000ml

                               30gtt/min                      3000ml

          

    tip) 10 guttae로 주입= 1분에 10방울

            분당 주입량(X)는

                15방울 : 1cc = 10방울 : Xml

                               10 = 15X

                          10/15 = X

            이것을 시간당으로 계산하면

                    (10/15) x 60 = 10 x 4 = 40ml

 

            20gtt/ml 라면

                    (20/15) x 60 = 20 x 4 = 80ml

 

            결국 시간당 주입량은 guttae수 x 4 를 하면 되고

            하루 24시간을 계산하려면 여기에 24를 곱하면된다.

 

                                                    총 주입량   

               시간당 주입량(cc/hr) = -------------

                                                   총 주입시간 

 

     tip) 한시간에 300cc를 주려면

                        300 / 4 = 75gtt / min

                        60 / 75 = 0.8

                        즉, 0.8초당 1방울이 떨어지게 셋팅.

 

 

보통 소아용 수액셋트로 쓰이는 microdropper : ugtt/min

 

           1cc로 60방울의 점적을 만들어 내는데 이는 곧

           chamber형태의 경우 60방울이 떨어졌을 때 1ml(cc)가 주입되며

           flow 형태의 경우 셋팅의 눈금 단위가 시간당 들어가는 수액량과 같게 되고

           ugtt/min 단위(분당 점적수 = 시간당 주입량)를 사용한다.

           예) 20ugtt/min로 주입시

                분당 주입량(X)는               

                60 : 1 = 20 : X

                     20 = 60X

                     1/3 = X

                시간당 주입량은

                  (1/3 )x 60분 = 20ml

                로 결국 microdropper에서의 분당 점적수는 시간당 주입량과 같게 된다.

 

  *  성 인 수 액 set >>  15방울 = 1ml
                                        microdropper set >>  60방울 = 1ml

 

 

infusion pump : cc/hr의 경우

 

           시간당 주입량으로 셋팅이 되어있으며

           단위는 cc/hr(시간당 주입량)을 사용한다.

 

    tip) gtt/min <=> ugtt/min = cc/hr 전환은

           1cc당 15방울과 60방울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gtt/min에 4배를 해주면 ugtt/min가 된다.

           10gtt/min = 40ugtt/min = 40cc/hr

 

 

 

수액에 희석해서 microgram단위로 주입시

*  1000 ml    = 1liter

1000 mcg = 1mg 

1000 mg   = 1g   

1000 g      = 1kg 

     무조건 분당 주입

        예) Nitroglycerin : 5-10 microgram(mcg,㎍)/min으로 시작해서

                                     흉통이 소실되거나 저혈압 발생할 때까지 증량.

                                                  ( 대략 SBP>140 시 증량, SBP<100시 stop )

             (5mg/1 ample)인 Nitroglycerin 5앰플 (50mg)을 250cc에 믹스하면,

             또는 (10mg/1 ample) 2앰플(20mg)을 100cc에 믹스하면, 
             50mg/250cc = 200mg/1000cc = 200mcg/cc

             즉 1cc당 Nitroglycerin의 함유량은 200mcg이 되고,

             몸무게와 상관없이 분당 10mcg으로 줄 때 시간당 주입량(X)은

                    10 x 60 : X = 200 : 1

                            200X = 600

                                X = 3cc/hr
             즉, (10mcg/min X 60min) / (200mcg/cc) = 3cc/hr 로 시작하면 된다.

             그리고, 분당 10mg이 3cc/hr라면 분당 5mcg은 1.5cc/hr가 된다.

             간단한 공식으로는

                                                       분당mcg x 60(min) x 총fluid량(cc)

                                         cc/hr = -----------------------------------

                                                             총용질량mcg(mg x 1000)

 

 

     체중당/분당 주입

        예) dopamine : 3mcg/kg/min renal dose로 시작해서 혈압보며 조절. 

 

             cc/hr 계산시 먼저 분당 얼마의 마이크로그람을 줄지, 어떻게 희석할지,

             환자의 kg는 얼마인지를 알아야 한다.

 

             60kg, (40mg/1 ample)도파민 2ample(800mg)을 500cc에 믹스, 3mcg/kg/min로 줄 경우

                      800 : 500 = X : 1

                           500X = 800

                               X = 1.6   즉, 1cc당 1.6mg이고

             3mcg/kg/min로 주입하려면

                      3mcg x 60 x 60 = 10.8mg 으로 시간당 10.8mg을 주입하여야 한다.

             이것을 시간당 cc/hr로 계산하면

                      1cc : 1.6mg = Xcc : 10.8mg

                                1.6X = 10.8

                                    X = 6.75

             즉, 대략 7cc/hr로 주입.

             간단한 공식은                              시간당 mg

                                          cc/hr = ----------------------

                                                               1cc당 mg


                                                         (㎍/㎏/min) × ㎏ × 60(min) 

                                          cc/hr = --------------------------

                                                         총용질량(mg x 1000 = mcg)

                                                         -----------------------

                                                                   총용매량(cc) 

                                         

                                                        분당 ㎍ × × 60(min) x 총fluid량(cc)

                                          cc/hr = -----------------------------------

                                                                총용질량mcg (mg x 1000)

                           

 

    체중당/시간당 주입

         예) heparin : 25000unit/5cc을 사용해서

               MI나 Angina 환자의 heparinization시  bolus inj.으로 80u/Kg을 주고

               initial continuous infusion : 15u/Kg/hr 을 주고자 할 때

               60kg 환자의 bolus량(cc)은

                                  80u x 60 = 4800u

                         25000unit : 5cc = 4800u : Xcc

                                           X = 0.96cc

               N/S 500cc 에 heparin 20000u(4cc)를 믹스하면

                         500cc : 20000u = 1cc : Xu

                                           X = 40U

               15u/kg을 주려면 15u x 60 = 900u

                이것으로 시간당 주입 cc용량(cc/hr)을 구하면

                                  900 / 40 = 22.5 (cc/hr) 가 된다.

                공식은

                                            시간당u x kg x 총fluid량(cc)

                              cc/hr = ------------------------------

                                                       총용질량u

  

            

수액에 희석해서 miligram단위로 주입시

 

    체중당/시간당 주입

         예) Aminophylline : 250mg/10ml amp 

               급성천식 발작시
               부하용량 - aminophylline 5-6mg/kg infusion over 15-30min
               유지용량(mg/kg/hr) - smoking adults : 0.70
                                               non-smoking adults : 0.47 
                          * 치료혈청농도(10-20mcg/ml in asthma, 5-10mcg/ml in apnea)
               60kg, 6mg/kg로 loading 시

                          6 x 60 = 360mg

                          250mg : 1amp = 360mg : X amp

                                          X = 1.44 amp  즉, 1 ample(10cc)과 4.4cc를 더 준비.

                          NS 100cc에서 약 14cc를 빼고 아미노필린 360mg(14.4cc)을 믹스.

                          이것을 30분동안 주려면

                          30분 : 100cc => 한시간에 200cc로 계산

                          200cc/hr = 50gtt/min 대략 1초에 한 방울씩 셋팅.

               NS 480cc + 아미노필린 2amp(500mg, 20cc) mix,

               non-smoking adults : 0.47 로 유지용량은

                          0.47mg x 60kg = 28.2mg

                          500cc : 500mg = 1cc :Xmg

                                            X = 1mg/cc

              즉, 대략 28cc/hr로 주입.

              공식은

                                            시간당 mg x kg x 총fluid량(cc)

                             cc/hr = ---------------------------------

                                                       총용질량(mg)

                           

              간단하게 cc/hr = 시간당 mg x kg
              만약 50kg 라면 23.5cc/hr

 

* 부하용량 + 유지용량

기관지천식의 급성발작치료를 위해 테오필린을 정맥내 주입할 필요가 있을 때, 정맥내 주입을 시작하기 전에 정맥내 주사로 유효혈중농도까지 도달시키기로 한다.  

유효혈중농도는 10-20μg/ml이지만 안전을 위해 10μg/ml을 목표로 초기량(부하량)을 구하며

부하량을 정맥주사하고 동시에 유지량으로 정맥내 주입을 시작하면 처음부터 혈중농도를 10μg/ml로 유지시킬 수 있다.

 

 

Pharmaceutical Science and Lab.

 

 

테오필린의 임상약물속도론 파라미터의 평균값

 

22-25μg/ml에서는 소화장해심박동수 증가(100-119 /min),

40μg/ml전후에서는 매분 120이상으로 심박동수가 증가,

40μg/ml이상에서는 심실성 빈맥, 경련·발작을 일으킨다.  

따라서 유효혈중농도 즉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고 치료목적으로 하는 기관지 확장작용을 나타내는 농도범위는 10-20μg/ml이 적당하다고 알려져 있다.

급성발작을 제외하면 테오필린은 대부분 경구로 투여된다.

17-50세의 합병증이 없는 환자의 약물 반감기는 6.6시간이며, ==> 투여간격 6시간

심부전을 동반하는 경우에는 반감기가 15.5시간이다. ==> 투여간격 12시간

 

 

* 18% TPN계산법

   10%(X), 50%(Y) 포도당 수액이용

       Xcc + Ycc = 1000cc     --> X = 1000 - Y

           0.1X + 0.5Y = 0.18 x 1000

           0.1(1000-Y) + 0.5Y = 180

                                   Y = 200

        그러므로 10%DW 800cc + 50%DW 200cc mix. = 18%DW 1000cc

 

[PPT] 수액요법

 

 

* Electrolyte Solutions 

 

           Solution    Osmolarity   Glucose    Na     Cl     K   Ca   Lactate

                              (mOsm/kg)     (g/L)                       (mEq/L) 

      -------------------------------------------------------
               5%   D/S         560            50         154   154

            0.9% Saline    308                         154    154

             3%    Saline  1026                         513    513

             5%    Saline  1712                         856    856

               Ringers  S     294                         147    147    5      5 

               Ringers  L     272                         130    109    4      3        28

               ( Hartmans)

 

                =====================================

                        NaCl  20 ml/ AM                          11. 7 %            

                              Na 40 mEq                                          

                        KCl   20 ml/AM                             14.9 %            

                              K  40 mEq                                           

                        NaHCO3 20 ml/AM                        8.4 %            

                              HCO3    20mEq,                Na 20 mEq           

                      Calcium gluconate  20 ml/AM       10.2%            

                              Calcium  9 mEq                                               

                ======================================

 

* 3 % NaCl solution  
          800 ml 0.9 % saline  + 200 ml 11.7 % saline(10 amples)  = 30.6 g/ 1000 ml ( 3% NaCl) 

            7.2 g NaCl                    23.4 g NaCl 

 

   5% NaCl solution  

          600 ml 0.9 % saline + 400 ml 11.7 % saline(20 amples)  = 52.2 g/ 1000 ml(5.2 % NaCl)

            5.4 g NaCl                  46.8 g NaCl  

 

* 5% albumin: 주입량보다 약간만 혈장 volume을 증가시킴.

  25% albumin 100cc : 혈장 volume을 약 500ml 증가시킴.

  효과는 24~36시간 지속.

 

 

*  Calorie intake : BMR x 1.25 x stress factor 

             BW          50       55        60         65         70     kg

             BMR       1316   1411   1509      1694     1784    kcal 

         -------------------------------------------
             Stress factor

                       Starvation      0.85-1.0

                       Postoperative 1.00-1.05

                       Long bone Fx 1.15-1.30

                       Peritonitis       1.05-1.30 

         --------------------------------------------

             BMR(basal metabolic rate) Harris & Benedict 
                   Women   =655+(9.5 x W) + (1.8 x H) - (4.7 x A)

                   Man        =66 + (13.7 x W) +(5 x H) -(6.8 x A) 

                            W: Weight(kg), H: Height(cm), A:Age(year)

 

 

* 포도당 1gram당 열량 : 4.1 calories/g of glucose

   예) 5% D/W 1000 ml 

        50 g/L glucose= 205 calories

        10% D/W  1000  ml

        100 g/L glucose=410 caloties

 

* Insulin 필요량: 1 U regular insulin / 4 g of glucose

     예) 10% DW (glucose 100 g + 24 U Regular Insulin) 

 

 

 

========== 이하 참고 http://kid.gsnu.ac.kr/student/ch6.htm 

 

 

 

* 심한 고칼륨 혈증의 응급처치. 

        - 농도(7.0 이상)

           T 파의 첨고화(peaking), P 파의 평파  (Flattened), PR 간격의 연장,

           QRS 복합체의 넓어짐( widening), 심방성 정지, 심실 세동, 심정지(cardiac arrest)

         1)  10% calcium gluconate 10 - 20 ml over 10min
         2)  7.5% NaHCO3 를 0.5-1m Eq/kg IV slowly  
         3)  50% D/W 를 0.2cc/kg + R.I 1U/5g of glucose continuous infusiom over 1 hour

 

고칼륨혈증(hyperkalemia)의 치료는

심근조직에 대한 칼륨의 부작용을 차단하고 외부에서 세포 내로 칼륨을 재분배시키고 체외로 칼륨의 배설을 촉진하는 것을 우선으로 한다. 치료는 당을 투여하고 칼륨을 제한하며 혈액투석 등을 실시한다. 고칼륨혈증의 일반적인 치료법은 칼륨의 혈청농도와 심전도에 따라 다음과 같다.

 

①칼륨 농도가 5.5~6.0mEq/L로

T파가 뾰족해지고 QRS가 짧아진 경우에는 환자가 혈류역학적으로 안정적이라면 이뇨제나 이온 교환수지제제(예: * 카리메이트, 아가메이트)의 투여가 효과적이다.

    * 카리메이트 : 장관내, 특히 결장 부위에서 칼슘이온과 장관 내의 칼륨 이온이 교환 되어

       대변을 통해 배설됨으로써 장관내 칼륨을 체외로 배출 시킨다. ( 경구투여 또는 관장)

 

②칼륨 농도가 6~7mEq/L로

PR과 QRS 복합파가 연장된 경우에는 포도당과 인슐린 또는 중조산나트륨을 투여하여 칼륨을 빠르게 세포 내에서 제거한다. 인슐린은 ATP의 가수분해를 증가시키고 포도당은 인슐린의 저혈당효과를 예방하기 위해 투여하는 것이다. 중조산나트륨은 대사성 산성증으로 인한 고칼륨혈증을 치료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포도당과 인슐린 또는 중조산나트륨의 효과는 일시적이기 때문에 심한 고칼륨혈증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이온교환수지나 혈액투석이 동반되어야 한다.

 

③칼륨 농도가 7mEq/L 이상으로

QRS 복합파가 납작해지고 넓어진 경우에는 부전수축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심각한 심장대상부전이 일어날 수 있는 상태이다. 이때는 염화칼슘을 투여하여 부작용을 방지한다. 그러나 칼슘의 투여는 총 칼륨 농도는 감소시키지 않으므로 다른 치료방법도 함께 동반해야 한다.

 

 

* 저나트륨 혈증을 교정하기 위해 필요한 Na 의 양 계산. 
   필요한 Na (mEq) = 체중(kg) x 0.5 x (올리고 싶은 Na 농도 - 현 Na 농도)

 

 

* 산혈증의 치료에 필요한 중탄산염(bicarbonate)의 양 계산.
   -  필요한 bicarbomate(mEq) = (20 - 환자의 CO2 content) x 체중(kg) x 0.5
       (5% sodium bicarbonate 1ml 안에는 0.6 mEq 의 bicarbonate 가들어있음)

   -  Astrup 법(base excess)BE
       Bicarbomate 소요량(mEq) = (- BE) x 체중( kg ) x 0.3

 

 

* 금식시 성인의 하루 필요 수액량 : 30cc/kg/day

   30cc x 70kg = 2100ml 즉, 하루에 대략 2000cc필요.

 

* 수분결핍량 =  TBW1  -  TBW2  ( TBW : 총수분량 (total body water))

                                                140

                    =  0.6  x  Bwt  -  -------  x  0.6  x  Bwt

                                              (Na)2 

                                                        140

                    =  0.6  x  Bwt  x  ( 1  -  -------  )

                                                       (Na)2

                                                         45

                    =  0.6  x  Bwt  x  ( 1  -  -------  )

                                                        Hct

 

* 심한 탈수증에서 수액 요법 

 

       1) Phase I(초기 급속 수액)


          목적: 순환 부전과 신기능을 빨리 회복시켜줌
          20-30mL/Kg(400mL/m2)을 1/2-1시간 내 정맥주입.

          순환 부전이 호전되지 않을 때에는 이것을 반복할 수 있다.
          normal saline이나 Ringer's lactate같은 ECF형 전해질 용액을 사용.
          (심한 collapse 상태에는 10ml/kg 의 plasma 나 plasma expander 를 줄수있다)
           원칙적으로는 K+는 포함시키지 않으나 Ringer's lactate에는 소량의 K+가 포함 되어있

           기 때문에 사용해도 무방.

           Metabolic acidosis가 예상되는 경우: bicarbonate가 들어있는 용액사용.

           심한 collapse상태 : plasma, 5%albumin이나 plasma expander를 10mL/kg 주입.

       2) Phase II

         - 이미 소실한 양+1일 유지량을 계산하여 이분량을 24시간 동안에 주입.
         - 이뇨가 시작되면 K+를 20-40mEq/L의 정도로 보충.

            40mEq/L 이상의 농도는 주사하지 않도록 하며

            K+의 소실을 부충하는데는 2-3일이 필요하다.
         - isotonic dehydration이나 hypotonic dehydration때는

           상기와 같이 계산한 수액양을 23시간동안에 균등하게 주입.

           특히 hypotonic dehydration때는 처음 8시간 동안의 총량의 1/2을 주고

           나머지 1/2을 16시간에 주입하기도 한다.

           hyppertonic dehydration때에는 2일간에 걸쳐서 좀 더 서서히 주입해야 한다.

           (1/3-1/4 isotonic balanced electrolyte solution으로 하되

             24시간내에 다 교정하지 말고 2-3일간에 걸쳐서 서서히 교정하도록 한다.

             그렇치 않고 빨리 교정할때에는 수분 중독으로 경련을 일으키는 수가 있다.)

        3) Phase III

          - 유지 요법에 쓰는 용액 이용

 

* 소아의 약용랑을 결정하는데 이용되는 기준 방법.

 

       1) 연령을 기준으로 하는 법:
            Augsberger식 : 소아의 약용량= 성인량의(4 X 연령+20)%
       2) 체중을 기준으로 하는 법:

          나이가 어릴수록 너무 적기 쉽고 나이가 많을 수록 너무 많아지는 경향이 있음
       3) 체표면적을 기준으로 하는법 
             소아 약용량=소아 체표면적/성인 체표면적 X 성인량
             소아 약용량 = 체표면적당 약용량 X 소아의 체표면적
             체표면적(m2)= 신장(cm)x체중(kg)/3600 or = 0.1 +체중/30 (단 30

Posted by Mania™

기전별 약물 속독법 연재(1)

최병철 교수의 인기강의 특별 연재

이 원칙을 알면 시판 1500품목을 알게 됩니다.


의약분업은 우리 약사들의 직능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다. 그동안 약사들은 환자들을 직접 관리하고 약물을 처방 및 투여하기도 했으나 이제부터는 의사의 처방에 따라 약물을 투여하는 간접적인 입장으로 전환되었다.

그로 인해 약국에서는 진료과목이 다른 병·의원의 처방을 수용하기 위해 다양한 약품을 구비하여야 하고, 약사들은 환자에게 다양한 약품에 대한 복약지도를 충실히 하여야 하는 의무를 가지게 되었다.

적절한 약품구입 및 철저한 복약지도를 위해서는 국내에서 시판되는 약품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숙지하는 것이 선결문제이다. 약품 검색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방법도 중요하지만 600~700가지의 다빈도 처방약품의 종류와 주요 약품에 대한 기전, 적응증, 혼동할 수 있는 약품 등 기본적인 내용들을 약사 자신이 직접 숙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즉, 환자가 약국에 방문시 처방전에 기재된 약품에 대한 정보를 검색 프로그램 의존 없이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야 한다.

또한 충분하게 여러 약품의 정보를 숙지한다면 의사 및 환자에게 신뢰감을 줄 수 있고 약품 조제 시간을 절약하는 등 많은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다빈도 약품과 필히 알고 있어야 할 주요 약품을 쉽게 숙지할 수 있도록 고안한 여러 방법을 발표하고자 하며 이것이 개국약사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국내에서 시판되는 처방약품은 일반명으로 약 1500여종이 되며 다음과 같은 10가지 숙지요령을 통해 800여종의 약물을 쉽게 숙지할 수 있다.


<10가지 숙지요령>

1. 동일한 접미어 및 접두어별로 정리

2. 유사한 기전별로 정리

3. 혼동하기 쉬운 약물별로 정리

4. 동일 성분 중 다양한 염별로 정리

5. 동일 성분 중 다른 제형별로 정리

6. 브랜드 상품별로 정리

7. 주요 적응증을 가지는 약물별로 정리

8. 같은 계통 약물별로 정리

9. 약물부작용을 흔히 일으키는 약물별로 정리

10. 약물상호작용을 흔히 일으키는 약물별로 정리


1. 동일한 접미어 및 접두어별 정리


심혈관계 약물


1)-dil, dil- : vasodilators(혈관확장제)


ex) 발기부전치료제 : alprostadil(카바젝트 주-파마시아, 뮤즈 요도좌제-얀센,스텐서 액-구주)

말초혈관확장제 : alprostadil(에글란딘 주, 녹십자), buflomedil(부롤린 정, 태준),ifenprodil(바디렉스 정, 부광), viquidil(데스크리디움 캅셀, 한화),

관상동맥혈관확장제 : dilazep(카네프 정, 진양), trapidil(로코날 정, 유씨비),

협심증치료제 : nicorandil(시그마트 정, 중외)

고혈압치료제 : minoxidil(로니텐 정, 파마시아), diltiazem(헤르벤 서방 캅셀, 주,한일), urapidil(에브란틸 캅셀, 태평양)


2) -dipine : calcium channel blocking agents (CCBA, 칼슘채널차단제)


ex) amlodipine(노바스크 정, 화이자), barnidipine(올데카 캅셀, 야마노우찌),benidipine(코니엘 정, 영진), cilnidipine(시나롱 정, 보령), felodipine(무노발정, 한독), lacidipine(박사르 정, 그락소), lercanidipine(자니딥 정, LG),manidipine(마디핀 정, 제일제당), nicardipine(페르디핀 정, 주, 서방캅셀, 동아), nifedipine(아달라트 오로스 정, 연질캅셀, 바이엘), nilvadipine(니바딜정, 현대), nimodipine(니모톱 정, 주, 바이엘), nisoldipine(씨스코씨씨 정, 아스트라), nitrendipine(바이프레스 정, 바이엘)


기타 CCBA : verapamil(이솝틴 정, 서방정, 일성), gallopamil(프로코롱 서방정, 일성),diltiazem(헤르벤 서방캅셀, 주, 한일)


3) -(o)lol : beta adrenergic blocking agents (BABA, 베타수용체 차단제)


ex) 선택적(AMEBBAC) : atenolol(테놀민 정, 현대), metoprolol(베타록 정, 유한),esmolol(브레비블록 주, 제일), bisoprolol(모노콜 정, 유한사이나미드),betaxolol(켈론 정, 부광), acebutolol(섹트랄 캅셀, 롱프랑로라), celiprolol(셀렉톨 정, 영진)


비선택적 : carteolol(미케란 정, 오츠카), carvedilol(딜라트렌 정, 종근당),penbutolol(베타프레신 정, 한독), pindolol(비스켄 정, 노바티스), propranolol(인데랄 LA 캅셀, 대웅), nadolol(코가드 정, 종근당), nipradilol(하이파딜 정, 일성),tertatolol(아텐실 정, 한화)


항부정맥제 : sotalol(렌테블록 주, 제일)

녹내장 점안제 : befunolol(벤토스 점안액, 삼일), betaxolol(타로나에스 점안액,한림), carteolol(미케란 점안액, 오츠카), levobunolol(베타간 점안액, 삼일),metipranolol(베타옵티몰 점안액, 진양), timolol(티모프틱 점안액, MSD)


alpha, beta blocker : amosulalol(라우간 정, 야마노우찌), artinolol(알말 정, 제일), labetalol(트란데이트 정, 주, 그락소)

alpha, beta and calcium channel blocker : bevantolol(칼반 정, LG)


4) -nidine(midine) : alpha2-agonists(알파2 - 효능제)


ex)녹내장치료제 : apraclonidine(아이오피딘 점안액, 반도)

고혈압치료제 : clonidine(카타푸레스 정, 주, 베링거)

근육이완제 : tizanidine(실다루드 정, 노바티스)

장운동억제제 : lidamidine(리페라딘 캅셀, 하원)


5) -pril :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s (ACEI, 안지오텐신전환효소저해제)


ex) alacepril(세타프릴 정, 부광), benazepril(시바쎈 정, 바이엘), captopril(카포텐 정, BMS), cilazapril(인히베이스 정, 제일), delapril(케타프릴 정, 한일),enalapril(레니텍 정, 중외), imidapril(타나트릴 정, 동아), lisinopril(제스트릴정-현대, 프리비닐 정-중외), moexipril(유니바스크 정, 녹우), perindopril(아서틸 정, 세르비에), quinapril(아큐프릴 정, 파마시아), ramipril(트리테이스 정,한독), spirapril(레너밀 정, 유한), temocapril(에이스콜 정, 동화), trandolapril(오드릭 캅셀, 한독)


6) -sartan : angiotensin Ⅱ receptor antagonists (AⅡRA, 안지오텐신Ⅱ수용체길항제)


ex) candesartan(아타간 정, 아스트라), eprosartan(테비텐 정, 화이자), losartan(코자 정, BMS), irebesartan(아프로벨 정, 사노피), valsartan(디오반캅셀, 노바티스)

외국) telisartin


7) -zosin : alpha1-adrenergic blocking agents(알파차단제)


ex) bunazosin(데탄톨 정, 한일), doxazosin(카두라 정, 화이자), prazosin(미니프레스 정, 화이자), terazosin(하이트린 정, 일양)


예외) urapidil


8) -zolamide : carbonic anhydrase inhibitors for glaucoma (CAI, 탈탄산효소저해제)


ex) acetazolamide(다이아막스 정, 유한사이나미드), dorzolamide(트루솝 점안액,BMS), methazolamide(메타존 정, 동현)


예외) dichlophenamide(글라콤 정, 한서)


9) -nitrate, nitro-, ni- : vasodilators(혈관확장제)


ex)협심증치료제 : isosorbide dinitrate(이소켓 리타드 정, 스프레이, IV, 경풍),isosorbide mononitrate(이소딜 정, 주, 캅셀, 분무액, 하나), nitroglycerin(니트로글리세린 설하정, 명문), nicorandil

CCBA : nicardipine, nifedipine, nilvadipine, nimodipine, nitrendipine


말초혈관확장제 : nicametate(크리단 정, 경남), nicergoline(사미온 정, 일동)


예외) 기생충치료제 : niclosamide(타에니아 정, 부광)

금연보조제 : nicotine(니코틴엘 TTS 패취, 노바티스)

항설사제 : nifuroxazide(에세푸릴 캅셀, 현탁액, 부광), nifurzide(리크리덴 현탁액, 한올)

NSAIDs : nimesulide(메수리드 정, 중외)

항암제 : nimustine(니드란 주, 한일)

H2RA : niperotidine(리셉틴 정, 근화), nizatidine(액시드 캅셀, 릴리)

BABA : nipradilol


10) -rinone : positive inotropic agents(강심제)

ex) amrinone(이노코 주, 사노피), milrinone(프리마코 주, 사노피)


11) -fibra(o) : antitriglyceridemic agents(고중성지방치료제)

ex) bezafibrate(베자립 정, 서방정, 종근당), ciprofibrate(리프라놀 캅셀, LG), etofibrate(리포멜즈 서방캅셀, 한화), fenofibrate(리판틸 캅셀, 녹십자), gemfibrozil(로피드 캅셀, 제일)


12) -vastatin : hydroxy methyl glutaryl CoA reductase inhibitors (HMGRI, HMG환원효소저해제)

ex) atorvastatin(자라토 정, 화이자), cerivastatin(리포바이 정, 바이엘), fluvastatin(레스콜 캅셀, 노바티스), lovastatin(메바코 정, 중외),simvastatin(조코 정, MSD)

혼동)항진균제 : nystatin(마이코스타틴 연고, 시럽, 질정, BMS)

성장홀몬억제제 : somatostatin(스틸라민 주, 세르비에)


호흡기계 약물

1) -(pren)aline : beta adrenergic agonists(베타수용체효능제)

ex) hexoprenaline(이피라돌 정, 일양), orciprenaline(=metaproterenol, 아루펜트 정, 주, 베링거), terbutaline(브리카닐 지속정, 주, 시럽, 터부헬러, 아스트라 제네카)


2) -terol : beta adrenergic agonists (베타수용체효능제)


ex) albuterol(=salbutamol, 벤토린 정, 흡입액, 그락소), bambuterol(밤백 정, 유한), clenbuterol(스피로펜트 정, 베링거), fenoterol(베로텍 정, 에어로솔, 흡입액 유디비, 베링거), formoterol(아토크 정, 시럽, 삼아), procarterol(메프친 정, 오츠카), salmeterol(세레벤트 흡입제, 디스커스, 그락소), tulobuterol(베라킨 정, 신일)


예외) trimetoquinol(이노펜 정, 주, 영진)


3) -phylline, -fylline : xanthine derivatives(크산친유도체)


ex)기관지이완제 : acebrophylline(설포라제 캅셀, 현대), acefylline(아세필 정, 삼성), acepifylline(브론탈 정, 에릭실, 영일), aminophylline(아스콘틴 서방정, 현대),bamiphylline(트렌타딜 정, 삼천리), oxtriphylline(옥시필린 정, 경동), theophylline(오스틴 서방정, 보령)


혈액개선제 : etofylline(헤소타놀 주, 한림), pentoxifylline(트렌탈 정, 주, 한독), propentoxifylline(헥스톨 정, 한독)


4) -bro-, bro- : mucolytic agents(점액용해제)


ex) ambroxol(뮤코팩트 정, 시럽, 주, 베링거), bromhexine(비졸본 정, 시럽, 주, 베링거)


5) -steine : mucolytic agents(점액용해제)


ex) acetylcysteine(누코미트 액, 캅셀, 한서), carboxymethylcysteine(리나치올 캅셀,시럽, 산, 현대), erdosteine(엘도스 캅셀, 대웅), letosteine(레토졸 정, 과립, 한독), methylcysteine(팩테이트 정, 태준)


예외) mesna(미스타본 네블라이져, 유씨비)


6) -crom, crom- : mast cell stabilzers(비만세포안정화제)

ex) nedocromil sod(틸레이드 에어로솔, 롱프랑로라), cromolyn sod(인탈 캅셀, 에어러솔, 네블라이져, 롱프랑로라)


7) -lukast : leukotriene receptor antagonists(류코트리엔수용체길항제)


ex) pranlukast(오논 캅셀, 동아), zafirlukast(아콜레이트 정, 아스트라)


소화기계 약물


1) -methicone : antifoaming agents(가스제거제)


ex) dimethicone(포실란 겔, 사노피), simethicone(가스쿨 정, 대웅)


2) -prazole : proton pump inhibitors(PPI, 프로톤펌프저해제)


ex) lansoprazole(란스톤 캅셀, 한일), omeprazole(로섹 캅셀, 점적용 주, 아스트라 제네카), pantoprazole(판토록 정, 태평양), rabeprazole(파리에트 정, 얀센)


3) -tidine : H2-receptor antagonists (H2RA, 히스타민H2-길항제)


ex) cimetidine(타가메트 정, 주, 유한), famotidine(가스터 정, 동아), niperotidine(리셉틴 정, 근화), nizatidine(액시드 캅셀, 릴리), ranitidine(잔탁 정, 주, 그락소), roxatidine(록산 캅셀, 주, 한독)


혼동) 히스타민H1-길항제 : loratidine(클라리틴 정, 시럽, 쉐링푸라우)


4) -pride(piride) : prokinetic agents(위장운동조절제)

ex) bromopride(벤트릴 정, 하나), cisapride(프레팔시드 정, 산, 현탁액, 얀센),

clebopride(크레보릴 정, 액, 보령), levosulpiride(레보프라이드 정, 선경), itopride(가나톤 정, 중외)


혼동)정신병약물 : amisulpride(솔리안 정, 부광), nemonapride(네포니드 정, 환인),remoxipride(록시암 캅셀, 유한), sulpiride(곰마틸 정, 대웅), sultopride(바네틸 정,일양), tiapride(프리달 정, 주, 일성), veralipride(아그레알 캅셀, 유한)


5) -salazine : antiinflammatory agents(항염증약물)

ex) mesalazine(살로파크 정, 좌제, 화리), olsalazine(다이펜툼 캅셀, 파마시아),sulfasalazine(사라조피린 EN 정, 일성)


6) -setron : serotonin antagonists for nausea and vomiting(세로토닌길항제)

ex) granisetron(카이트릴 정, 주, 스미스클라인 비참), ondansetron(조프랑 정,주, 그락소), ramosetron(나제아 오디 정, 주, 야마노우찌), tropisetron(나보반 캅셀, 주, 노바티스)


외국) dolasetron


7) -verine, -verium : antispasmodics(진경제)


ex)진경제 : caroverine(스파몬 정, 한림), drotaverine(노스파 정, 사노피), fenoverine(펙사딘 캅셀, 부광), mebeverine(듀스파타린 정, 중외), rociverine (다나펜 정, 부광), pinaverium(디세텔 정, 일양)


방광질환치료제 : propiverine(비유피-포 정, 제일)


항미생물 약물

1) -amphenicol : chlorampenicol(클로람페니콜)

ex) chloramphenicol(헤로세친 캅셀, 종근당), thiamphenicol(올파마이신 캅셀, 한올)


2) -amycin : macrolides(마크로라이드계)


ex) acetylmidecamycin(카미신 정, 시럽, 영진), acetylspiramycin(아세틸스피라마이신 정, 근화), josamycin(조사마이신 정, 동아), kitasamycin(로이고마이신 정, 캅셀신동방), midecamycin(메데마이신 캅셀, 유유), rokitamycin,(리카마크 정, 종근당)spiramycin(로바마이신 정, 시럽, 롱프)


예외) clindamycin(크레오신 캅셀, 시럽, 주, 파마시아), kanamycin(가나신 주, 일동),ribostamycin(황산리보스타마이신, 국제), tobramycin(테네브라 주, 동화)


3) -(i)thromycin, -(y)thromycin : macrolides(마크로라이드계)

ex) azithromycin(지스로맥스 캅셀, 시럽, 화이자), clarithromycin(클래리시드 정, 애보트),

dirithromycin(다이나백 정, 릴리), erythromycin(에릭 캅셀, 보령), roxithromycin(루리드 정, 한독)


4) cef-, ceph- : cephalosporins(세팔로스포린)


5) -cillin : penicillins(페니실린)


ex) benzylpenicillin(마이신 주, 한올), procain penicillin(호스타실린 수성주, 한올), ampicillin(앰실린 캅셀, 종근당), amoxacillin(아목사펜 캅셀, 종근당), bacampicillin(펜그로브 정, 유한), ciclacillin(와이비탈 캅셀, 시럽, 일동), lenampicillin(바라시린 정, 삼아), metampicillin(메탐피실린 캅셀, 국제), pivampicillin(셀렉시드 정, 주, 동화), talampicillin(탈피실린 캅셀, 영진), cloxacillin(올브렉스 캅셀, 영진), dicloxacillin(엠비딘 캅셀, 일동),flucloxacillin(플록신 캅셀, 주, 한올), methicillin(메체시린 주 대한), nafcillin(아포세컨 나프실린 주, 영진), sultamicillin(유나신 정, 화이자), azlocillin(아로신 주, 삼진), carbenicillin(슈도펜 주, 종근당), piperacillin(아코펙스 주, 유한), pivmecillinam(세렉시드 정, 동화), ticacillin(타이카펜 주, 일성)


6) -cycline : tetracyclines(테트라사이클린)

ex) demeclocycline(레더마이신 캅셀, 유한), doxycycline(바이브라마이신 정, 캅셀, 주, 화이자), methacycline(로타마이신 캅셀, 국제), minocycline 캅셀, 유한), oxytetracycline(옥시마이신 캅셀, 종근당), tetracycline(리지노마이신 정, 중외)


7) -kacin, -micin, -omycin : aminoglycosides (SKGTANN)아미노글리코사이드

ex) amikacin(아미킨 주, 보령), dibekacin(파니마이신 주, 동아), gentamicin(겐타신

주, 건일), isepamicin(이세파신 주, 유한), micromicin(노보라신 주, 중외), netilmicin(네트로마이신 주, 건일), astromycin(포티미신 주, 영진), paromomycin(가브로마이신 주, 일성), sisomycin(사이소민 주, 종근당)


예외) kanamycin(가나신 주, 일동), ribostamycin(황산리보스타마이신, 국제), tobramycin(테네브라 주, 동화), spectinomycin(트로비신 주, 파마시아)


8) -lin-, lin- : lincosamides(린코사마이드)

ex)clindamycin(크레오신 캅셀, 시럽, 주, 파마시아), lincomycin(린코신 캅셀, 주, 파마시아)


9) -(flo)xacin : quinolones(퀴놀론계)

ex) ciprofloxacin(씨프로바이 정, 주, 바이엘), enoxacin(후루마크 정, 동아), grepafloxacin(렁가스킨 정, 오츠카), fleroxacin(메가록신 정, 종근당), levofloxacin(크라비트 정, 제일), lomefloxacin(맥사킨 정, 썰), norfloxacin(박시달 정, 캅셀,종근당), ofloxacin(타리비드 정, 제일), pefloxacin(페프라신 정, 주, 수액, 롱프랑), sparfloxacin(스파라 정, 삼아), tosulfloxacin(오젝스 정, 유한사이나미드) 외국) trovafloxacin, alatrofloxacin


10) -conazole : antifungal agents(항진균제)

ex) fluconazole(디푸루칸 캅셀, 주, 시럽, 화이자), itraconazole(스포라녹스 캅셀, 얀센), ketoconazole(니조랄 정, 얀센)


11) -bendazole : anthelmintics(기생충약)

ex) albendazole(젠텔 정, 유한), flubendazole(젤콤 정, 종근당)


12) -nidazole : antiamebial agents(항아메바제)

ex) metronidazole(후라실 정, 근화), ornidazole(티베랄 정, 로슈), secnidazole(후라젠틸 정, 롱프랑), tinidazole(파시진 정, 화이자)


13) -quine : antimalarial agents(항말라리아제)

ex) hydroxychlorquine(유마 정, 유한), mefloquine(라리암 정, 로슈)

혼동)기미제거제 : hydroquinone(에소테리카 에프 크림, 썰)


내분비계 약물


1) -bose : alpha-glucosidase inhibitors(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제)

ex) acarbose(글루코바이 정, 바이엘), voglibose(베이슨 정, 제일제당)


2) gli-, gly- : 혈당강하제 또는 혈당관련약물

ex)sulfonylureas : glibenclamide(glyburide, 다오닐 정, 화이자), gliclazide(디아미 크롱 정, 세르비에), glimepiride(아마릴 정, 한독), glipizide(다이그린 정, 유한), gliquidone(글루레노름 정, 베링거)

thiazolidonediones : rosiglitazone(아반디아 정, 스미스클라인비챰)

외국) troglitazone, pioglitazone, miglitol, repaglinide


3) -thi-: antithyroid agents(항갑상선제)

ex) lecithin iodide(요레친 정, 동현), methimazole(메티마졸 정, 유나이티드), propylthiouracil(안티로이드 정, 부광)


혼동)항정신병약물 : chlorprothixene(크로젠 정, 유나이티드), flupenthixol(후루앙솔 정,주, 일동), thiothixene(오나벤 캅셀, 유영), zuclopenthixol(크로픽솔 정, 환인)


4) -thyro- : throid hormones(갑상선홀몬)


ex) levothyroxin(씬지로이드 정, 부광), liothyronine(테트록신 정, 다림)


5) -catonin : calcitonins(칼시토닌)


ex) elcatonin(엘시토닌 주, 종근당), salcatonin(마야칼식 주, 코분무, 노바티스)


6) -dronate : bisphosphonates(비스포스포네이트)


ex) alendronate(포사맥스 정, MSD), clodronate(오스탁 캅셀, 주, 종근당), etidronate(오스테움 정, 유영), pamidronate(아레디아 주, 노바티스)


외국) risedronate, tiludronate


7) -est, est- : estrogens(에스트로젠)


ex) conjugated estrogen(스로겐 정, 삼일), estradiol(에스토 주, 삼일), estriol(오베

스틴 정, 한화), estropipate(오젠 정, 파마시아), ethinyl estradiol(에스토 정, 삼일),broparestrol(부로파 연고, 동국)


8) -gest(r) : progesterones(프로제트로젠)

ex) dydrogesterone(듀파스톤 정, 중외), gestrinone(네메스트란 캅셀, 헥스트마리온롯셀), hydroxyprogesterone(프로게스테론데포, 서편담), medroxyprogesterone(프로베라 정, 파마시아), nomegesterol(루테닐 정, 한화), progesterone(유트로게스탄 연질캅셀, 한화), promegestone(써제스톤 정, 헥스트마리온롯셀)


기타)progesterone제제 : allylestrenol(퍼세린 정, 오가논), chlormadinone(프로스탈 정,동아), norethisterone(프로모루트엔 정, 쉐링)


9) -(xi)fene : antiestrogens(항에스트로젠제제)


ex) tamoxifene(놀바덱스 정, 아스트라), toremifene(화레스톤 정, 동아)

외국) raloxifene (selective estrogen receptor modulators)


10) -olone : hormones(홀몬제)


ex) 남성홀몬제 : androstanolone(안드락탐 겔, 제일), mesterolone(비스티몬 정, 유진에치칼)

아나볼릭스테로이드제제 : nandrolone(데카-듀라볼린 주, 오가논), oxymetholone(한서옥시메토론 정)

코티코스테로이드제제 : methyl prednisolone(데포메드롤 주, 파마시아), prednisolone(니소론 정, 국제), triamcinolone(레더코트 정, 유한사이나미드)

종합홀몬제 : tibolone(리비알 정, 오가논)

혼동)근육이완제 : afloqualone(스폴몬 정, 경동)

항궤양제 : carbenoxolone(헬퍼 겔, 아주)


11) -relin : GnRH analogs(성홀몬방출홀몬유사체)


ex) buserelin(수프리거 비분무액, 한독), goserelin(졸라덱스 데포 주, 아이씨아이),nafarelin(신나렐 비분무액, 썰), triptorelin(데카펩틸-데포, 페링)


12) -pressin : antiduretic hormones(항이뇨홀몬제)


ex) desmopressin(미니린 정, 나잘스프레이, 주, 신광), vasopressin(바소프레신 주, 한림)


예외) 식도정맥류치료제 : terlipressin(글라이프레신 주, 페링)


신경정신계 약물


1) -cetam : nootropics(뇌신경강화제)


ex) oxiracetam(뉴로메드 정, 시럽, 주, 유씨비), piracetam(뉴트로필 캅셀, 정, 주, 유씨비)


2) -gaba-, ba-, gaba- : GABA analogs (GABA유사체)


ex)항전간제 : gabapentin(뉴론틴 캅셀, 제일), vigabatrin(샤브릴 정, 한독)

근육이완제 : baclofen(바로론 정, 안국)


3) -mantadine(mantine) : dopamine agonists(도파민효능제)


ex) amantadine(피케이멜즈 정, 한화), memantine(아카티놀 정, 주, 한화)


예외) 항바이러스제 : tromantadine(바이루멜즈 연고, 한화)


4) -mazine, -nazine, -razine, -dazine : antipsychotics (phenothiazines, 항정신병제)


ex) chlorpromazine(네오마찐 정, 환인), mesoridazine(메소리벤 정, 유나이티드),thioridazine(멜러릴 정, 노바티스), perphenazine(트리민 당의정, 주, 영진), trifluperazine(오페라진 정, 환인)


5) -narizine : antiserotonin and calcium channel blockers(항세로토닌 및 칼슘채널차단제)


ex) flunarizine(씨베리움 캅셀, 얀센), cinnarizine(글라닐 정, 대화)


6) -(ze)pam, -zepate, -zolam, -zam : benzodiazepines(벤조디아제핀계)

ex) alprazolam(자낙스 정, 파마시아), bromazepam(렉토팜 정, 로슈), brotiazolam(렌돌민 정, 베링거), clonazepam(리보트릴 정, 로슈), clotiazepam(리제 정, 대웅), estazolam(에실간 정, 한일), etiazolam(데파스 정, 종근당), lorazepam(아티반 정, 주, 일동), clobazam(센틸 정, 한독), clorazepate(트랑센 캅셀, 동아), diazepam(바리움 정, 주, 로슈), ethylloflazefate(빅손 정, 현대), flurazepam(달마돔 정, 로슈), flutoprazepam(레스타스 정, 삼아), mexazolam(메리움 정, 한화), midazolam(도미컴 정, 주, 로슈), nordazepam(노레팜 정, 한화), pinazepam(피나팜 캅셀, 일양), topisopam(이소탄 정, 한림), triazolam(할시온 정, 파마시아)


혼동)진통제 : nefopam(아포팜 주, 삼일)


7) -peridol : antipsychotics (butyrophenones, 항정신병제)


ex) bromperidol(테소푸렐 정, 한화), haloperidol(세레네이스 정, 주, 노바티스)


8) -pride(piride) : antipsychotics (benzamides, 항정신병제)


ex) amisulpride(솔리안 정, 부광), nemonapride(네포니드 정, 환인), remoxipride(록시암 캅셀, 유한), sulpiride(곰마틸 정, 대웅), sultopride(바네틸 정, 일양), tiapride(프리달 정, 주, 일성), veralipride(아그레알 캅셀, 유한)


9) -thix- : antipsychotics (thioxanthenes, 항정신병제)


ex) chlorprothixene(크로젠 정, 유나이티드), flupenthixol(후루앙솔 정, 주, 일동),thiothixene(오나벤 캅셀, 유영), zuclopenthixol(크로픽솔 정, 환인)


10) -pramine : tricyclic antidepressants (TCA, 삼환계항우울제)


ex) clomipramine(아나푸라닐 정, 노바티스), imipramine(이미푸라민 정, 환인),quinupramine(카누프릴 정, 환인)


외국) desipramine, trimipramine


11) -tyline, tilline : tricyclic antidepressants (TCA, 삼환계항우울제)


ex) amitriptyline(에나폰 정, 환인), nortriptyline(센시발 정, 일성), setiptillin,(테소론 정, 한화), maprotillin(루디오밀 정, 노바티스)


외국) protriptyline


12) -xetine :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SSRI, 항우울제)


ex) fluoxetine(푸로작 캅셀, 시럽, 릴리), paroxetine(세로자트 정, 스미스클라인 비챰)


13) -zodone : antidepressants (SRI, 항우울제)


ex) nefazodone(설존 정, BMS), trazodone(트리티코 정, 캅셀, 국제)


14) zolpi-, zal-, zopi- : sedatives and hypnotics(진정수면제)


ex) zolpidem(스틸녹스 정, 부광), zopiclone(이모반 정, 롱프랑)


외국) zaleplon


안이비인후계 약물


1) -last : antiallergic agents(항알러지제)


ex) tranilast(리자벤 캅셀, 세립, 중외), pemirolast(알레기살 점안액, 태준) tazonolast(타자레스트 정, 유한)


2) -astine : antihistamins(항히스타민제)


ex) acrivastine(셈프레이어 캅셀, 그락소), azelastine(아젭틴 정, 부광), levocabastine(리보스틴 점안액, 얀센), clemastine(타베질 정, 시럽, 주, 노바티스), ebastine(에바스텔 정, 보령), emedastine(레미코트 서방정 캅셀, 코오롱), epinastine(알레지온 정, 베링거), mizolastine(미즐렌 정, 부광) 진해제 : cloperastine(투스타졸 정, 시럽, 한일)


예외) 항구토제 : betahistine(메네스 정, 동구)


항암제 : amifostine(에치올 주, 쉐링), vinblastine(벨바스틴 주, 유나이티드),

vincristine(온코빈 정주, 릴리)


피부비뇨계 약물


1) -tretin- : vitamin A derivatives(비타민 A유도체)


ex)건선치료제 : acitretin(네오티가손 캅셀, 로슈), etretinate(티가손 캅셀, 로슈) 여드름치료제 : tretinoin(스티바-에이 크림, 스티펠), isotretinoin(로아큐탄 연질캅셀-로슈, 이소트렉스 크림-스티펠)


2) -uro : 소변관련약물

ex)불임치료제 : urofollitropin(폴리몬 주, LG)

위점막방어제 : urogastrone(울트론 정, 건일)

혈전용해제 : urokinase(유로키나제 주, 녹십자)


통증관련 약물


1) -aura(o) : DMARDs(gold preparations, 항류마티스제)

ex) auranofin(리도라 정, 유한), sod. aurothiomalate(오로치오 주, 유한)


2) -cain : local anesthetics(국소마취제)

ex) lidocain(염산리도카인 주, 광명), dibucain(비엠 겔, 대웅), oxybuprocaine(benoxinate, 베노시네이트 점안액, 삼일)

혼동)부정맥치료제 : tocainide, procainamide


3) -cillamine : DMARDs(항류마티스제)


ex)bucillamine(리마틸 정, 종근당), penicillamine(올타민 캅셀, 일동)


4) -curium, -curonium : nondepolarizing neuromuscular blockers(비탈분극성신경근차단제)

ex) atracurium(트라크리움 주, 명문), mivacurium(미바크론 주, 그락소),pancuronium(파크론 주, 명문), pipecuronium(아듀앙 주, 한화),vencuronium(노쿠론 주, 한화)


5) -dolac, -rolac, -zolac : NSAIDs (pyranocarboxylic acids)

ex) etodolac(로딘 정, 캅셀, 서방정, 건일), ketorolac(타라신 정, 주, 로슈), lonazolac(이리트렌 정, 태평양)


6) -(clo)fenac, -methacin, (me)tacin : NSAIDs (acetic acids)

ex) aceclofenac(에어탈 정, 대웅), amfenac(페나족스 캅셀, 영진), diclofenac (볼타렌 정, 주, 서방정, 노바티스), indomethacin(인테반 액, 크림, 스팬슐 캅셀, 유한), glumethacin(테오라마 캅셀, 고려), acemetacin(메티신 캅셀, 한림), protacin(아푸록산 캅셀, 한올)

예외) sulidac(클린닥 정, 사노피)


7) -fenamic, -fenamate, -flumate : NSAIDs (fenamic acids)

ex) flufenamic acid(프록살 정, 반도), mefenamic acid(폰탈 캅셀, 시럽, 유한),tolfenamic acid(클로탄 캅셀, 하나), meclofenamate(메크로멘 캅셀, 제일), talniflumate(소말겐 정, 근화)


8) -perisone : muscle relaxants(근육이완제)

ex) eperisone(뮤렉스 정, 초당), tolperisone(타렉신 정, 아주)


9) -profen, -profenic, -proxen, -prozine : NSAIDs (propionic acid)

ex) alminoprofen(미날펜 정, 한화), fenoprofen(신노팔 캅셀, 유한사이나미드),flubiprofen (후로벤 정, 서방캅셀, 삼일), ibuprofen(부루펜 정, 시럽, 삼일), ketoprofen(아실렌 캅셀, 그락소), loxoprofen(록소딘 정, 동화), pranoprofen(프라닌 캅셀, 한일), zaltoprofen(솔레톤 정, 제일제당), tiaprofenic acid(썰감 정, 주,서방정, 한독), naproxen(낙센 정, 종근당), oxaprozine(듀라프록스 정, 일동)


10) -sal- : salicylates(살리실레이트)

ex) choline mag. trisalicylate(트리맥스 정, 현대), diflunisal(디니살 정, 삼남),salsalate(모노제식 정, 한화), acetylsalicylate(아스피린 정, 바이엘), triflusal(디스그렌 캅셀, 명인)


11) -triptan : serotonin agonist(세로토닌효능제)

ex) sumatriptan(이미그란 정, 주, 그락소), rizatriptan(맥살트 정, BMS)

외국) naratriptan, zolmitriptan


12) -xicam : NSAIDs (oxicams)


ex) cinoxicam(사나트롤 정, 부광), droxicam(프리캄 캅셀, 한미),lonoxicam(제포 정, 현대), meloxicam(모빅 캅셀, 베링거), piroxicam(펠덴 정,캅셀, 주, 화이자),tenoxicam(테노캄 정, 동아)


13) -coxib : NSAIDs

ex) celecoxib(세레브렉스 캅셀, 화이자), rofecoxib(바이옥스 정, MSD)


항암제


1) -grastim(gramostim) : colony stimulating factors(콜로니촉진인자)


ex) filgrastim(그라신 주, 제일), lenograstim(뉴트로진 주, 동화),sargramostim(류코젠 주, LG)


2) -mustine

ex) carmustine(비아이씨엔유 주, 보령), estramustine(에스트라시트 캅셀, 파마시아),lomustine(씨이엔유 캅셀, 보령), nimustine(니드란 주, 한일), ranimustine(사이메린 주, 보령)


3) -platin : platin-containg complex

ex) carboplatin(카보플라틴 주, 녹십자), cisplatin(시스플라틴 주, 중외),hepatplatin(선플라 주, 선경), oxaliplatin(엘록사틴 주, 사노피)


4) -(to)poside : podophyllotoxin

ex) etoposide(라스텟트 연질캅셀, 주, 동아), teniposide(부몬 주, 보령)


5) -rubicin

ex) aclarubicin(아크라시논 주, 동아), daunorubicin(다우노브라스티나 주, 일동),doxorubicin(아드리아마이신 주, 일동), epirubicin(파모루비신 주, 일동),idrarubicin(자베도스 캅셀, 파마시아)


6) -taxel : taxaceae plant extract

ex) paclitaxel(탁솔 주, BMS), docetaxel(탁소텔 주, 롱프랑)


7) vin- : vinca alkaloids

ex)항암제 : vinblastine(벨바스틴 주, 유나이티드), vincristine(온코빈 정주, 릴리),

vinorelbin(나벨빈 주, 부광)

혈관이완제 : vincamine(빈카프롤 주, 경동), vinpocetin(빈포세프 정주, 새한)


Posted by Mania™

<정의>

-폐렴이나 폐결핵의 후유증으로, 기관지 벽이 파괴되고 확장을 된 것을 의미한다. 더하여 기관지 내에 삼출물이 축적되면 거의 영구적인 기관지 확장이 초래될 수 있다.

<기관지 확장증의 유형>

(1)선천성 기관지 확장증

-이것은 매우 흔치 않으며 정상 섬모 움직임을 방해하는 섬모의 선천성 미세관 비정상성이 있는 선천성 Kartagener의 증후근(부동성섬모증후군)에서 발생한다. 그것은 기관지확장증, 주비동염, 우심증 그리고 완전 장측전위에 의해 특징 지워 진다. 또한 남성 불임증과도 연관되어질 수 있다.

(2)후전성 기관지 확장증

-기관지 폐쇄와 박테리아 감염은 이 질병에 대한 주요 요인들이다. 종양 또는 이물로 인할 수 있는 기관지의 폐쇄는 그 기관지에 의해 공급되는 폐 조직 붕괴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기관지 확장증은 또한 감염이후에 발생하며 다수의 작은 기관지의 폐쇄를 이끄는 끈적끈적한 객담생성의 원인이 된다. 기도가 작고 때라서 더 쉽게 객담전이 쌓일 때 이러한 것은 고전적으로 그르렁거리는 기침, 결핵, 홍역 그리고 어린시절의 폐렴과 연관되어진다. 매우 가끔씩 기관지 확장증은 결핵의 말기 합병증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구획이 붕괴되는 우 중엽에 영향을 미친 적이 있다. 그것은 또한 폐 농양 그리고 폐렴 이후에 발생할 수 있고 저감마글로불린혈증을 가진 환자의 면역결핍과 연관되어질 수 있다. 자동면역 반응과 연관되는 알러지성 기관지폐 아스페르길루스증은 중간 크기 기관지의 기관지 확장증으로 되면서 점액전 형성의 원인이 될수 있다.


<기관지 확장증의 병리>

-기관지 폐쇄는 땅콩 또는 깨진 이 또는 종약 또는 확대된 선으로 인한 폐쇄와 같은 흡입된 이물로 인해 국소화 되어질 수 있거나 그르렁거리는 기침 또는 홍역으로 인해 해결하는데 시간이 걸리는 폐렴과 같은 것으로 전반화 되어질 수 있다.

 기관지 폐쇄는 폐쇄에 원위부인 폐 조직으로부터 공기 흡수 원인이 될 것이며 이 부분은 따라서 줄어들고 붕괴할 것이다. 이러한 것은 근위부의 기도에 더 많이 작용하게 되는 견인력의 원인이 되고 그것들을 팽창시키고 비틀 것이다. 만약 폐쇄가 제거되어 질 수 있다면 폐는 다시 빠르게 재 확장되고 팽창은 돌이킬 수 있게 된다. 분비물들이 폐쇄에서 멀게 모여지고 그것이 빠르게 경감되지 않는다면 이러한 것들은 쉽게 감염된다. 이러한 것은 탄력과 근육조직의 파괴와 함께 기관지 벽의 염증원인이 된다. 이러한 감염들은 약해지고 약해지는 벽과 함께 반복적으로 발생한다. 그것들은 실상 음성 흉막 내합으로 인해 팽창할 것이다. 그 질병이 진행할 때 기관지는 총괄적으로 팽창되고 농을 함유하는 주머니들이 형성되어진다. 따라서 점액섬모수송기전은 분쇄되어지고 폐로부터 점액 통로고 방해받게 된다.

 몇몇 유형들이 병리학적으로 인식 되어진다; 관상, 방추상 또는 낭상 이다. 기관지 벽안에 있는 동맥 혈관들은 폐 모세혈관과 문합이고 이러한 것은 용혈의 흔한 특징이 된다.


<임상특징>

-누런 가래가 많이 나오는 것이 기관지확장증의 가장 흔한 증상이며 주로 아침에 심한 것이 특징이다. 늘어난 비정상적인 기관지에 밤사이에 분비물이 고이게 되고 대개 아침에 활동을 시작함에 따라서 가래가 많이 나오게 되는데 대개 세균의 감염을 동반되어 있어 누런 색을 띄는 것이다. 기관지 안에 고여있는 분비물은 세균이 쉽게 번식하여 염증이 잘 생기고 한번 세균에 감염되면 잘 치료가 되지 않아 폐렴이나 폐농양 등의 합병증을 일으키기 쉽다. 기관지확장증 환자에서는 가벼운 감기에도 기침, 가래, 발열 등의 증상이 심해질 수 있고 일반적인 치료에도 잘 듣지 않는 경우가 많다.

또한 늘어난 비정상적인 기관지는 혈관들도 약화되어 있어 조그마한 감염에도 혈관이 파괴되고 가래에 피가 섞여 나올 수 있다. 대부분 경미한 정도의 객혈을 보이지만 간혹 대량 객혈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매우 위험한 상황에 빠지기도 한다.

기관지확장증이 심해지면 폐기능 저하나 심장 기능의 저하가 일어날 수 있으며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생길 수 있다.



<치료> 

-기관지확장 자체만으로 임상증상을 일으키지 않는다. 그러나 기관지확장증이 있게 되면 정상인에 비해 객담배출이 순조롭지 않게 되고, 따라서 배출되지 않고 기관지 속에 고인 객담이 2차성 세균감염이 병발되어 여러가지 임상증상 및 기관 지 확장증의 진행을 조장시키는 악순환이 일어나게 된다. 

그러므로 기관지확장증 치료의 목적은 기관지확장증은 낫지 않는 병인 까닭에 부수적으로 생기는 객담배출 및 기관지 감염의 치료가 가장 중요하다고 하겠다. 

⑴ 대증요법 

 ① 수화 (hydration) : 충분한 수분을 공급하여 가래를 묽게 만들어 배출되기 쉽게 한다. 

 ② 금연 

 ③ 축농증치료 

 ④ 기관지확장제 

 ⑤ 거담제 및 점액용해제 

 ⑥ 진해제 

⑵ 흉부 물리치료 : 객담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체위거담(postural drainage)을 시행                     한다. 

⑶ 항생제 투여 

⑷ 수술요법 

⑸ 기관지 동맥의 혈관조영술

Posted by Mania™

천식(Asthma)

Medical Care : 2008. 11. 18. 13:57

<정의>

천식은 폐 조직내 기관의 좁아짐으로 인해 천명음과 숨가쁨을 증상으로하는 임상적 증후군이다. 협소의 심각성은 다양하며 자발성으로나 치료의 결과로서 회복되어진다.


<천식의 유형>

-외재적 천식

외재적(아토픽) 천식은 젊은 연령층에서 발병하며 특별한 알러지와 같은 동일성의 발통점 요인들에 의해 원인이 되어진다. 환자들은 보통 다른 요인들(꽃가루,집 먼지,깃털,모피,먼지,공해 그리고 때때로 음식,약물과 운동)에서 민감하며 유사 반응도에 대한 가족력을 가지고있다. 아토픽 대상자들은 미량의 항원추출량을 통해 피부를 따끔하게 쑤심으로서 유발되는 즉각적 피부반응을 나타낸다. 악화요인의 노출은 점액 염증성 알러지 반응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천식의 형태는 우연히 되는 경향이 있다. 집 먼지 진드기는 영국에서 가장 흔한 양성피부반응을 나타내며 심한 천식을 가진 80% 아동들에 있어서 양성이 되는 것을 나타낸다. 외재적 천식은 젊은 사람들에게 흔하며 천식의 가족력과 연관되고 열과 습진을 가지고 있다.

-내재적 천식

내재적(아토피가 아닌) 천식은 만성 상태로서 노인환자에게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분명한 알러지 원인 또는 가족력을 가지고 있지 않다. 이런 형태의 천식은 만성기관지염과 연관되어지거나 격렬한 운동, 스트레스 또는 근심에 의해 악화 되어진다. 비록 이러한 것들의 대다수가 근원적으로 바이러스성이라 할지라도 호흡감염들은 급성 발작들을 악화시키는 데에 또한 흔한 요인이 된다. 그래서 항생제들은 치료에 있어 부적절하다.


<천식의 유병률>

 천식은 어떤 연령에서도 발병할 수 있으나 아동들에게서 가장 흔하며 특히 소년들(대략 3:2의 비율)에게서 그러하다. 영국에 있는 10세 이하의 대략 10%의 아이들은 기도의 협소와 관련되는 일시적인 기간의 기침과 천명을 가지고 있다. 학교를 결석한 날짜가 어린시절 천식의 치료와 진단으로 인해 낮게 추정될 수 있다 할지라도 천식은 어떤 다른 만성질병보다도 더 많은 학교 결석을 요한다.

 어린시절 천식은 일반적으로 사춘기후 완화되지만 나중 생애에 다시 되돌아 올 수 있다. 중년에서 시작하는 천식은 남성들보다 여성들에게서 더 흔하며 이러한 나이 그룹에서 환화되기는 흔치않다.

 비록 그 질병의 경과가 예견될 수 없다 할지라도 천식 사례의 대다수는 경미하다. 사망률은 받아들이기 어려울 정도로 높고 1960년대 이후로 영국과 웨일즈에서 연간 대략 2000명정도의 사망으로 느린 상승을 보여 왔다. 치료중인 것과 환자에 의한 심한 천식의 불충분한 인식 그리고 의사들은 86%까지의 천식사망을 예방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그러한 증상들을 낮게 추정하는 환자들이 가장 위험한 환자들이라고 할 수 있다. 천식환자들의 대략 15-20%는 기류폐쇄의 중등도 변화들을 인식하지 않으며 심한 천식이 갑작스럽게 나타날 때 빠르게 악화할 수 있다.


<천식의 병리>

-천식의 모든 형태에 있어 근원적인 문제점은 기도들이 비정상적 반응에 있는 것처럼 보인다. 즉 기도는 정상 대상자들에게는 영향을 미칠 수 없는 자극에 반응하여 지나치게 협소해진다. 천식 발작시 발생하는 주요 병리학적 변화들은 다음과 같다.

#기관지와 세기관지 벽에 있는 평활근의 경련(기관지 수축)

#기관지와 세기관지의 점막 부종

#지나친 점액생성과 점액전(mucus plugging)

이러한 변화들은 기도폐쇄를 일으킨다. 기관지벽은 호산구로 침투되어지며 상피 기저막의 비후가 있다. 발작의 끝에서 이러한 변화들이 거의 전적으로 바꿔질 수 있으나 발작들이 자주 발생한다면 오래 계속되는 변화들이 일어날 것이다. 그런 변화들은 평활 기관지근의 비대이며 그것은 발잘시 기관지 경련의 결과를 증가시키게 된다; 술잔세포수와 점액선의 증가와 함께 점막의 영구적 비후; 공기저류로 인한 폐포의 과 팽창; 그리고 이미 협소해진 세기관지가 점액전에 의해 막혀지는 폐포의 무기폐 등이다.

 천식을 악화시키는 지배적 요인은 알러지 반응이며 항원을 중재시키는 기관지수축이 있다. 이러한 것은 항원(알러지 또는 악화요인)이 기관지 내층에 존재하는 거대세포막에 있는 두 개의 IgE 분자들(면역글로블린 항체)로 결합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융합은 평활근 세포들의 수용체 부분에서 작용하는 매개체를 방출시키며 근육수축을 일으키는 세포내 순환 AMP레벨들의 변화 원인이 된다. 매개체인 히스타민, 중성구 화학주성 요인(NCF-A), 혈소판 작용요인(PAF) 그리고 호산구 화학주성 요인(ECF-A)들은 수행되는 매개체로 거대세포안의 과립에 축척 되어진다. 항원 항체 반응은 신체면역반응의 부분이며 항원의 사전 노출은 훨씬 더 큰 기관지 수축을 일으킨다.


<천식의 임상 특징>

-외재적 천식

#천명과 호흡곤란-호흡곤란의 집중적이며 주로 호기시에 발생하고 짧게 숨이차는 흡기와 함께 의식적으로 지치게 된다. 천명은 항상 호기시에 존재하지만 심한 천식에 있어서는 흡기에서 발생할 수 있다.

#기침-발병의 초기상태에서 기침은 비생산적이고 심한 기침이 될 수 있다. 그러한 석은 기관지 경련과 호흡곤란의 증가 원인이 된다. 발작이 가라앉을 때 기침은 생산성이 되거나 객담전(plugs of sputum)이 된다. 노란색의 점착성 점액과 박리된 상피세포 그리고 호산구로 구성되는 그런 플러그들은 급성 발병시 종종 기침하여 뱉어지게 되며 증상의 현저한 감소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아동들에게 있어서 기침은 유일한 현존 증상이 될 수 있다.

#자세-환자는 호흡 보조근을 도와주기 위해서 테이블 또는 베드를 잡고 견갑대를 고정시킨 채고 똑바로 앉는 것을 선호할 것이다. 흉부는 과잉 팽창되어져 있다.

#맥박-맥박은 빠르며 심한 기도폐쇄 때문에 흉곽내압 진폭 과대로 인한 흡기시 혈압의 증가된 하강(>10mmHg)이 있을 수 있다(기이맥,pulsus paradoxus). 그러나 기이맥은 매우 심한 천식 발작에서는 없을 수도 있다. 기이맥이 존재할 때 측정은 혈압계로 쉽게 수행되며 치료반응과 진행과정을 제공한다.

#심전도(ECG)-이것은 빈맥을 나타내며 우심실 염좌 또는 큰 P파의 발달징후를 보여준다. 이러한 비정상성 들은 발병이 가라 않을 때 정상으로 돌아갈 것이다.

#청색증

#혈액가스

#호흡음

#타진 노트-환자가 과잉팽창 되어 있다면 과-공명일 것이다.

-내재적(만성)천식

외재적 천식보다 특징적으로 덜 발작성이며 만성기관지염과 자주 관련 되어진다. 임상 특징들은 위에 기술된 외재적 천식들과 유사하지만 천명과 호흡곤란은 지속되고 아침에 더 심하며 기침은 점착성의 객담을 생성하며 호흡감염은 빈도가 증가하고 방사선은 폐기종변화를 나타낼 수 있다.

#급한 심한 천식


<물리치료>

:주요 목표

-기관지경련을 감소시키고 분비물들의 제거를 촉진 시킨다.

-발작시 호흡조절과 호흡곤란의 조절을 향상 시킨다.

-국고 이완을 가르치고 자세 향상과 두려움과 근심을 가라앉히는 것을 도와준다.

-폐 상태의 지식과 증상조절을 향상시킨다.

-운동내성을 향상시키며 운동에 장기간 몰두하게 한다.

-자가관리에 대한 충고를 준다.

Posted by Mania™

폐기종(Emplysema)

Medical Care : 2008. 11. 18. 13:56

<정의>

-폐기종은 폐포와 그 가까이 있는 구조물이 비가역적으로 늘어난 상태로 고무풍선(폐포)과 그곳에 공기를 통하게 해주는 작은 관(세기관지)이 늘어난 상태라고 볼 수 있다. 폐포는 몸에 산소를 공급하고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곳이다. 한번 들어간 공기가 모두 나오지 않고 남아 있으면 새로운 공기가 들어가지 못하므로 산소의 공급과 이산화탄소의 제거가 원활하지 못하게 되어 숨이 차게 되는 현상이다.


<원인>

-어떻게 폐기종이 생기는 지는 아직 분명하지 않다. 고무풍선이 오래 되면 탄성이 없어져서 신축성을 잃게 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인간의 폐도 나이를 먹게 되면 탄성이 없어지게 된다는 식의 단순한 이유가 아니며, 폐기종이 발병하게 되는 배경에는 여러 가지 외적, 내적 인자가 뒤얽혀 있는 것 같다.


-외적인자

오랜 동안의 끽연, 오염된 공기의 흡입, 병원 미생물의 폐에 대한 거듭되는 감염 따위가 발병의 유인이 된다.

-내적인자

환자가 중년 이후의 남성에게 많은 점에서, 나이가 들거나 남성이라는 무엇인가가 발병과 관계가 있다고 생각된다. 또 혈액 속의 당단백의 하나인 안티프로아제의 결핍도 발병인자의 하나로 들 수 있다. 끽연이나 병원 미생물의 감염과 같은 자극이 가해지면 폐포 영역에 백혈구나 마크로파지(대식세포)와 같은 이물을 무독화하는 세포가 유리되는데, 이들 세포에서 단백분해효소(프로테아제)가 방출되어 폐포벽을 구성하고 있는 단백을 분해해 버린다고 생각되고 있다. 따라서 안티프로테아제가 없어지거나 부족하면 폐포벽이 단백분해효소에 의하여 파괴되고 마는 것이다. 그밖에 영유아 때에 걸린 호흡기질환에 의한 폐의 발육장애도 관계가 있다고 보고 있다.

<폐기종의 병리>

-흡연은 종말 세기관지 주위의 폐 폐포 대식세포들(호흡기도의 주요 방어세포들)의 군집에 원인이 된다. 이러한 대식세포들은 흡연가에 있어서는 비정상이며 그러한 것들은 단백분해효소들을 방출하며 폐 조직을 국소적으로 파괴시킨다. 폐 감염과 싸우는데 필요한 다형핵 백혈구들이 폐조직을 파괴시키는 효소를 방출시킨다. 이러한 효소들의 원치 않는 활동에 대항하는 방어기전은 혈청 알파1 안티트립신에 있으며 정상적으로는 기도 내층 윤활제에 존재한다. 흡연과 백혈구들에 의해 방출되는 산화제는 알파1 안티트립신의 항단백 분해효소 활동을 비 활성화시키며 중심 소엽성 폐기종에서 보여 지는 폐 조직 파괴의 원인이 된다.

 그 후 기도의 벽들은 반복되는 감염의 손상 때문에 약해지고 비탄력적이 된다. 기도벽들은 호기 시에 붕괴되는 벽과 함께 한쪽 밸브로 작용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것은 공기저류와 호기시 잇따라 일어나는 폐포 내압의 증가 원인이 된다. 폐포 중격이 무너지고 낭포(bullae)를 형성한다.

 호기시 낭포에 있는 저류 공기의 압력은 인접한 건강한 조직을 압박할 수 있으며 그 조직에서 폐쇄와 공기저류의 원인이 된다. 폐포 벽 주위에 있는 모세혈관은 신장되며 내강이 감소 되고 위축이 발생하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것은 가스 교환에 대한 표면부위의 손실과 폐 모세혈관 연결망의 손상에서 오는 혈액공급 감소로 인해 환기/관류의 변경 원인이 된다.


<증상>

폐에는 수많은 폐포가 있으므로 많은 폐포가 늘어나기 전에는 별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그래서 폐기종은 60세 전후에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은데 증상은 호흡곤란, 기침, 체중감소 등이 주로 나타나고 가래는 별로 심하지 않는다.

폐기종의 대표적인 증상은 15cm 정도의 거리에 있는 촛불도 입으로 불어서 끄기가 힘든 호흡곤란이다. 중년기를 넘긴 사람, 특히 남성이 쉽게 숨이 찬 것을 느껴서, 심장의 검사를 받아 보지만 이상이 없고, 흉부 X선 사진을 찍어도 비정상적인 음영이 찍히지 않을 때에는 폐기종일 가능성이 크다.

또 전신으로 흐르는 동맥혈 속의 산소가 부족하고, 환원 헤모글로빈의 양이 늘어나므로, 입술이나 손톱의 빛깔이 푸른 빛을 띠는 청색증이 나타난다. 폐성심(cor pulmonale)이 심해지면 간장이 붓고, 부종이 일어난다. 그리고 불면, 불안, 두통 따위의 신경증세라든가 체중감소도 나타나게 된다.

<치료>

치료는 염증이 합병된 경우 항생제를 쓰게 되며 좁아진 기관지를 넓혀주기 위해 기관지확장제를 사용한다. 이밖에도 스테로이드 호르몬제나 객담배출제, 산소호흡기를 통한 산소요법을 쓰기도 한다. 그러나 이들 치료는 단지 증상완화를 목적으로 할 뿐 아직 폐기종 자체를 완치할 수 있는 근본적 치료법은 없다. 따라서 평소 금연을 통한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폐기종 환자는 특히 심장병이나 고혈압약에 주의하여야 한다. 고혈압이나 심장병약중엔 기도를 좁아지게 하는 성분이 있을 수 있으므로 폐기종 환자의 호흡곤란증세를 더욱 악화시킬 위험성이 있다.

Posted by Mania™